이상 탄생 120주년 기념전 : 《날개야, 다시 돋아라.》

Yi Sang 120th Anniversary Exhibition : Wings, sprout up again.

2030.9.23.(Mon) — 2030.10.23.(Wed)

전시 포스터

이상(李箱, 1910–1937)은 한국 근대 문학사에서 가장 난해하고도 매혹적인 존재다. 그는 건축가로서의 논리적 사고와 시인으로서의 감각적 언어를 결합해, 일상의 기호를 해체하고 다시 구축하는 실험을 거듭했다. 그의 시는 문장이라기보다 구조에 가깝고, 단어는 감정이 아니라 공간의 벽돌처럼 쌓인다. 이번 전시는 그가 남긴 언어의 잔해를 시각적 구조물로 재조립하는 과정이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 (Wings, sprout up again.)》는 이상의 대표작 〈오감도〉, 〈거울〉, 〈날개〉를 중심으로, 언어의 파편이 시각과 청각의 층위 속에서 재생되는 장면을 제시한다. 각 작품은 '비행과 추락', '자기와 타자', '기호와 신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시의 파편들이 빛과 음향, 공간의 리듬 속에서 새로운 감각으로 태어난다.

〈오감도〉는 질서와 혼돈이 공존하는 세계의 축도다. 숫자로 분절된 언어, 단절된 리듬은 근대적 이성의 파열을 드러내며, 오감(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을 통해 도시의 소음, 빛, 냄새, 사람들의 일상을 압축적으로 묘사한다. 시각적으로는 반복되는 격자와 파동으로 재현된다. 이는 전통 문법을 파괴한 아방가르드적 실험으로, 불안에 사로잡힌 현대인의 자폐적 내면을 드러내며, 발표 당시 독자들의 비난을 불렀으나 문학사에 큰 충격을 주었다.

〈거울〉은 자아와 타자의 관계, 반사와 왜곡의 이미지를 다루며, 거울을 통해 일상적 자아와 본래적 자아 사이의 갈등을 반복적 묘사와 비문법적 어순으로 표현한다. 반투명한 스크린과 영상 투사를 통해 '응시당하는 나'를 관객 스스로 체험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자아 인식의 고통과 무의식적 내면을 드러내는 초현실주의적 작품으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날개〉는 무기력한 지식인의 자아 상실과 탈출 욕구를 그리는 서사로, 밀폐된 방 안에서 억압된 주인공의 내면을 통해 부부 관계의 파탄과 현실 소외를 상징한다. 천장으로부터 투사되는 빛의 흐름과 저주파 음향이 중첩되어 '다시 돋아나는 순간'을 감각적으로 암시한다. 이는 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무력한 비상을 은유하며, 자아 회복의 순환적 과정을 암시한다.

이번 전시는 이상의 탄생 12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그의 문학을 하나의 건축적 구조로 읽는다. 그의 작품이 구축한 시적 공간은 단지 언어의 영역에 머물지 않고, 현대의 예술가들에게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 "언어 이후, 예술은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

전시 공간은 총 세 구역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구역은 이상의 생애와 당시 도시 서울의 근대 풍경을 아카이브 형태로 보여주며, 두 번째 구역에서는 시의 텍스트가 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을 시각화한다. 마지막 구역은 '비행'을 주제로, 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빛과 그림자의 인터랙티브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시 구성은 시를 '읽는' 경험에서 '걷는' 경험으로 확장시킨다.

'날개'는 상실과 회복, 분열과 재생의 은유다. 소설 속의 '나'가 밀폐된 현실 속에서 날개를 잃고 무기력하게 추락하는 장면은 근대적 자아의 붕괴를 상징하지만, 동시에 다시 돋아나는 날개는 새로운 언어와 감각의 회복을 암시한다. 본 전시는 이 과정을 하나의 순환적 구조로 제시하며, 문학과 예술, 감각과 이성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구한다.

이상은 짧은 생애 동안 40여 편의 시와 산문, 그리고 수많은 설계도와 드로잉을 남겼다. 그가 '건축적 시인'이라 불린 이유는, 그의 작품이 시의 논리로 건축을 말하고, 건축의 논리로 시를 지었다는 점에 있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는 이러한 이중 구조를 현대적 미디어를 통해 재해석함으로써, 이상이 남긴 "형태로서의 사유"를 오늘의 감각으로 복원한다.

기간2030.9.23.(월)―10.23.(수)

장소서울시립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1층 전시실1

주최서울시립미술관

후원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권정원

관람시간화―일 10:00―18:00 (월요일 휴관)

관람료무료

주소우편번호 03900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로 108-1(상암동)

문의x315313@gmail.com

Yi Sang (1910–1937) stands as one of the most complex and captivating figures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Combining the rational logic of an architect with the sensory language of a poet, he dismantled and reconstructed the signs of everyday life. His poems are architectural—words stacked like bricks forming structures rather than sentences. This exhibition reassembles the fragments of his language into visual architecture.

Wings, sprout up again. centers on Yi Sang's representative works—Crow's Eye View, Mirror, and Wings—showing how fragments of language are reborn across visual and sonic layers. Each piece is structured along three axes: "flight and fall," "self and other," and "sign and body." Through light, sound, and rhythm, poetic fragments gain new sensorial lives.

Crow's Eye View portrays a world of coexisting order and chaos. Its divided numbers and broken rhythm expose the rupture of modern rationality while capturing the noise, light, and pulse of urban life through the five senses. Repetitive grids and waves visualize its structure—an avant-garde rebellion against syntax that revealed the autistic anxiety of modern humans. Though controversial, it left an enduring mark on literary modernism.

Mirror explores the tension between self and other through reflection and distortion. Through repetition and non-grammatical syntax, it exposes conflict between the ordinary and the true self. Semi-transparent projections allow viewers to experience the unsettling act of being seen, evoking the pain of self-awareness and blurring the border between dream and reality.

Wings illustrates the collapse and escapism of an alienated intellectual. In his confined room, the protagonist's mental isolation mirrors the breakdown of domestic and social identity. Light and low-frequency sound overlap to suggest the moment of renewal—a metaphor for both colonial despair and self-recovery.

This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120th anniversary of Yi Sang's birth, interprets his literature as architectural structure. The poetic spaces he built transcend language, asking: "After language, how can art exist?"

Divided into three sections—the first revisiting Yi Sang's life and modern Seoul's archives, the second visualizing text's transformation into matter, and the third creating an immersive space of flight—the exhibition transforms the act of reading into walking.

The motif of "wings" embodies loss and regeneration. The protagonist's fall reflects the disintegration of modern selfhood, while reemerging wings symbolize the recovery of perception and language. The exhibition frames this as a cyclical structure where literature, art, sense, and reason converge.

During his brief life, Yi Sang produced more than forty poems, essays, and architectural drawings. Dubbed the "architectural poet," he built poems with architectural logic and wrote structures with poetic reason. Wings, sprout up again. reinterprets this dual structure through media art, reviving his notion of "thought as form" for the present.

Period2030.9.23 ― 2030.10.23

VenueSeoul Museum of Art, Nanji Residency, Exhibition Hall 1

Organized bySeoul Museum of Art

Sponsored byKorea Arts & Education Service

Curated byKwon Jeongwon

Opening HoursTue–Sun 10:00–18:00 (Closed on Mondays)

AdmissionFree

Address108-1 Haneulgongwon-ro, Sangam-dong, Mapo-gu, Seoul 03900, Korea

Contactx315313@gmail.com

*페이지의 구조는 일민미술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